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구체성, 검색결과: 85
81
이미화(이화여자대학교) 2011, Vol.28, No.3, pp.103-121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을 KCR4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KCR4의 GMD는 내용과 용기의 용어가 혼합되어 적합한 용어를 선정하기 어렵고, FRBR 개념모형 구현도 용이하지 않다. SMD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용어가 포함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 개발된 RDA 자원유형은 AACR2 GMD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앞으로 목록분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목록환경에 RDA 자원유형의 적용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한 개 기관을 대상으로 GMD 기술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용어의 변경 및 사서 및 이용자가 원하는 용어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자원유형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및 RDA 자원유형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자원유형 용어는 검색과 기술을 위해 구체적이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이 필요하였다. RDA 적용 테스트에서는 자원유형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RDA 내용유형에 컴퓨터게임을, 용기유형에 DVD, CD-ROM, Blu-Ray, 컴퓨터파일을 추가하여 KCR4의 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술방식과 화면출력에서도 RDA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KCR4 자원유형 개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seek to apply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It is difficult to choose appropriate term and to embody FRBR model because GMD of KCR4 is the mixture of content-based vocabularies and carrier-based vocabularies. SMD is to need to reflect the current technological terms. Resource type of RDA was already developed to overcome limitation of AACR2's GMD, and would affect the world catalo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 to apply resource type of RDA to Korean cataloging rule. For this study, case study and survey were used. In case study, it was to scan all GMD term for one university library to build by programming and to grape librarian and users’ potential need. In the survey by cataloging librarian, it was to figure out the current description of resource type in university library and to test RDA resource type. As a result, it was needed to revise the vocabulary to the obvious and user-understandable list. Also it was different in correction rate in RDA testing by resource type. Based on the case study and the survey, RDA resource type was applied to KCR4 resource list by adding term such as computer game in content type, and by inserting terms such as DVD, CD-ROM, Blu-Ray, computer file in carrier type. It also applied RDA description method and display means to KCR4. This study would apply RDA resource type to KCR4 and contribute to revise KCR4 resource type.

82
최예진(연세대학교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전임연구원) ; 김초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40, No.3, pp.163-196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63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은 외부적으로는 도서관의 역할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명시적인 선언이자 내부적으로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침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발전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국제적, 국가적 환경에 대한 이해, 개별 대학과 대학구성원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국제 환경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협업’, ‘컬렉션 개발 및 구축’, ‘연구지원’이라는 키워드를 주축으로 다양한 전략과 세부 계획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발전계획 내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가치의 구체적 명시, 문화적 다양성성과 형평성, 포용성 등의 핵심가치의 중요성 인식, 대학도서관 내외부의 파트너십 및 협업의 중요성 인식, 경영 목적 달성의 도구로서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 has external importance as it explicitly declares the library’s role and development direction. Internally, it is also a library service guideline. To develop the development plan, libraries must understand the trends and needs of international, national, and affiliating universities and their constitu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includes case, content, and network analyses of foreign academic libraries’ development plans to identify the trends. The analysis results show most foreign academic libraries employed various strategies and plan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collaboration,’ ‘collec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support.’ Consequently, we propose the following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n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 specification of mission, vision, and core values; recognition of core values such as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with other units within the universiti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as tools for achieving management objectives.

83
박민정(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승민(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40, No.3, pp.197-219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97
초록보기
초록

자료를 기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AACR 계열의 목록규칙과 서지구조는 한국의 고문헌만이 지니고 있는 서지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것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의 서지적 측면을 분석하고 FRBR LRM 개념적 모형을 기반으로 기술항목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여 고문헌의 고유한 특성에 최적화된 서지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때 관계의 설정은 관련된 고문헌을 서지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문헌, 특히 우리나라의 고문헌이 지닌 서지적 특성과 형태적, 내용적 변형을 충분하게 반영할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이 설정되어야 한다. 단위저록 형태의 단편적인 서지레코드만을 생성하는 기존의 서지 환경에서 벗어나 LRM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서지데이터 단위로 기술항목을 분리 및 통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서지적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고문헌의 조직, 관리,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며, 향후 BIBFRAME 형식의 서지데이터 생성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Abstract

The cataloging rules of AACR families and bibliographic structure, which are broadly used in describing resources, show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 uniqu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materials. Thus this research proposed a bibliographic structure optimized to the uniqu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materials by establishing bibliographic relationships between bibliographic entities based on the FRBR LRM conceptual model. The bibliographic relationship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way of connecting related materials in the bibliographic structure. These relationships should sufficiently reflect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physical variations, and content variations. Through this structure,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can be separated and integrated into the bibliograhpic unit by applying LRM conceptual model. By using the proposed structure,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Korean old materials can be more efficient. Also, it can provide a new bibliographic environment that can be the foundation of creating BIBFRAME records for Korean old materials.

84
정우경(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 신동희(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1-3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바일 월경주기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 기법과 함께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도입하여 사용자 경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허니콤(Honeycomb)모델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월경주기측정 애플리케이션 리뷰에서 드러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월경주기측정 애플리케이션의 한국어 리뷰 47,117개를 수집하였다. 리뷰에서 드러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전체적인 담론 확인을 위해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토픽 별 구체적인 경험을 확인하고자 동시출현 네트워크 관계로 구축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정서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감정분석(Sentim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월경주기측정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전략을 정확도, 디자인, 모니터링, 데이터관리 및 사용자관리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애플리케이션의 월경주기측정 정확도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개선해야 함이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디자인적 시도가 필요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개인정보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관리방법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월경주기측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UX)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용자들이 경험한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방대한 양의 리뷰 데이터를 연구자가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토픽모델링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결합하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user experience evaluation by introducing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along with topic modeling techniques for mobil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applica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women’s health and analyzed the results by combining them with a honeycomb model. To evaluate the user experience revealed in th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application review, 47,117 Korean reviews of th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application were collected.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overall discourse on the user experience revealed in the review,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pecific experience of each topic. In addition, sentimenta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experience of users.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application was presented in terms of accuracy, design, monitoring, data management, and user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and monitoring function of th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of the application should be improved, and it was observed that various design attempts were required.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r’s biometric data management method was also confirmed. By exploring the user experience (UX) of the menstrual cycle measurement application in-depth, this study revealed various factors experienced by users and suggested practical improvements to provide a better experience.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methodology by combines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techniques so that researchers can closely grasp vast amounts of review data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user experiences.

초록보기
초록

저작권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범위와 방법을 결정하는 법률적인 기준이다.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은 저작권 보호가 종료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디지털도서관 구축과 서비스에서 우선 고려 대상이 된다. 이 연구는 실제로 도서관이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을 서비스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디지털도서관의 구축과 서비스에 적용되는 저작권법의 관련 조항들을 망라해서 정리하고, 아울러 저작권 보호기간이 가지는 의미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보호기간 만료저작물 온라인 서비스 현황을 김유정, 이효석, 채만식 세 명의 일제강점기 작가들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의 구체적인 서비스 실태를 점검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법률의 허용하는 범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정이 도서 내에 포함된 다른 저작자의 권리와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단위를 저작물을 중심으로 변경할 필요성과 전거레코드를 활용해서 저작자의 생몰년 관리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Copyright is a legal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cope and method of digital library service. Works with expired protection periods correspond to the public domain and can be freely used by anyone. For this reason, it is a priority consideration in digital library construction an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ctively libraries are using expired protected works for digital library services. To this end,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pyright Act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service of digital libraries were first summarized, and the meaning of the copyright protection period was theoreticall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services for expired works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works of three Japanese colonial era writers, Kim Yoo-jung, Lee Hyo-seok, and Chae Man-sik, to check the specific service status of expired works. It reveals th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not fully utilizing the scope of the law, and that this situation is linked to the rights of other authors included in the book.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service unit to focus on copyrighted works and to use authority records to systematize the management of authors’ death yea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