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ERMS, 검색결과: 6
1
김성환(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7, Vol.34, No.4, pp.127-152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127
초록보기
초록

다양한 분야에 걸쳐 생산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IT활용 방안 중 하나인 RFID 기술은 바코드 시스템을 대체하고 시스템 이용에 보다 편리함을 가져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시스템은 이미 도서관을 비롯한 일부 기록관에도 적용되어 있으며, 한층 효과적인 기록관리 시스템 개발에 진보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시스템은 도입 초기단계에 놓여있고, 사소한 문제점과 불안전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기록관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시스템의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선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RFID기반 기록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기록관의 실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기록관에서 운영 중인 RFID기반 기록관리체계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RFID기반 기록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통해 효율적 운영방법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Abstract

RFID technology that is one of the way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across diverse sectors of IT, is being hailed as a technology that replaces the bar code system and brings more convenience to the system. RFID system have been already applied to libraries, and archive, and is expected to bring advancements in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system is still in the initial stage of the introduction,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introduction because of trivial problems and unsafe elements, and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detailed problems of the system. So, In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of executives of archive who operate the RFID 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is, we foun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RFID 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operating in the current archive, and the problems in the RFID 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conclusion, we suggest improvements in efficient operation method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기록물로서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공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생산단계에서 메타데이터 정보를 획득,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문서는 행정정보의 근원이면서 생산기관의 의사결정을 표현하고 실현하는 핵심주체로서, 생산된 공문서는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문서 관련 주요 양식의 구조 분석을 통해 항목별로 관련 데이터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요소는 국제표준기록물 기술의 데이터 요소와 상호 비교, 분석하여 공문서의 생산배경 및 의도, 특징 등이 충분히 반영된 공문서 메타데이터 요소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표준화된 기록물 메타데이터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llect and manage in the step of creation metadata information to effectively manage and use official document which is a typical and normal records. To do it, data elements are extracted through analyzing structure of official document format. And we also select metadata elements reflecting creation background, publisher's intention, characteristic of official documents through evaluating and comparing extracted elements with data elements defined in ISAD rules. It would be draft data in constructing standardized metadata structure for records in Korea.

3
이소연(한국여성개발원) ; 김자경(한국영상자료원) 2004, Vol.21, No.3, pp.227-250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27
초록보기
초록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그 효용을 검증받아온 기록관리원칙과 디지털정보가 공유하는 속성을 모두 감안하여야 한다. 디지털 환경에 맞추어 전통적인 기록관리원칙을 재확인한 기록관리 국제표준 ISO 15489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가장 유용한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ISO 15489의 기능영역별 원칙을 추출하고, 이를 대표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 설계표준(미 국방성표준, 영국 국립기록보존소 표준, 유럽연합의 요건모형)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공통적인 시스템요건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 핵심요건을 우리나라의 자료관시스템규격의 해당항목과 비교분석하였다. 현재 각급 행정기관 내에 설치 중인 자료관의 업무전산화 시스템으로 개발된 이 표준을 본격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design effectiv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it is viable to consider both traditional principles of records management, proven to be effecti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formation. ISO 15489,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is acknowledged as the most useful guidelines for this goal. The present study extracted basic principl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from its provisions of 7 functional steps. It then compared the principles to system requirements of three system design criterion, developed by Department of Defense(U.S.A.), Public Records Office(Britain), and European Union respectively. Common requirements, included in all three criterion, were then searched in the Korean standard of developing automated systems for records centers.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a Korean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elaborating from the core requirements of the system found by the present study.

4
남영준(중앙대학교) ; 장보성(중앙대학교) 2006, Vol.23, No.3, pp.241-264 https://doi.org/10.3743/KOSIM.2006.23.3.24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구독하는 전자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필수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를 제안하였다. 제안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DLF ERMI 권고안을 비롯하여 해당 권고안을 제안한 연구컨소시엄에 참여한 UCLA 대학도서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도서관, Boston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의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상의 기초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국내 전자자원관리담당자에 검증을 받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를 요소를 제안하였다. 트라이얼 범주는 트라이얼 URL을 포함한 총 12개 요소, 컨소시엄 범주는 컨소시엄 명을 포함한 총 15개 요소, 수서정보 범주는 수서ID를 포함한 총 24개 요소, 라이선스 범주는 라이선서를 포함한 총 33개 요소, 전자자원 정보는 P-ISSN을 포함한 총 21개 요소, 접근/관리정보는 관리자ID를 포함한 총 20개 요소, 이용통계 범주는 이용통계 유형을 포함한 총 13개 요소, 워크플로우 범주는 워크플로우ID를 포함한 총 14개 요소, 연락정보 범주는 연락ID를 포함한 총 18개 요소 이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indispensable elements of met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and effectively manage of electronic resource in library.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into the data elements of DLF ERMI's ERMS data structure, foreign three universities. The Data elements are verified by domestic ERM specialist. As result of study, Trial categories are 12 elements, Consortium categories are 15 elements, License categories are 33 elements, Electronic resource information categories are 21 elements, Access/Administrative information categories are 20 elements, Usage statistics categories are 13 elements, Workflow categories are 14 elements, Contact information categories are 18 elements.

5
방기영(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 황창주(동남보건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33, No.3, pp.31-61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지역 축제기록을 보존․활용할 수 있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비교하여 축제 기록에 적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적용 대상 축제로 춘향제를 선정하였으며, 현재 춘향제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그 중 축제기록을 보존할 시스템이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기록관리용 공개 소프트웨어인 AtoM(Access to Memory)와 OMEKA를 활용하여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시스템을 지역 축제기록의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AtoM 기반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이 지역 축제기록의 보존․활용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systems that can preserve and utilize local festival records and archives.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used open source software for Namwon chunhyang festival as a case.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onstructive system for preserving local festival recor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mplemented elect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s, which are called AtoM(Access to Memory) and OMEKA. Also, both OSS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records. As a result, ERMS for Festival based on AtoM was appropriate comparatively.

6
이정희(한국해양대학교) ; 김희섭(경북대학교) 2007, Vol.24, No.3, pp.343-362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34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공립 대학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이 보다 적합한 전자기록물을 검색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고 그 성능을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과 비교해 보았다.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은 OntoStudio 1.4를 사용하여 자체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실험 컬렉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문서는 한국해양대학교의 2005년도 전자문서관리시스템에서 생성한 인사발령통보’ 5,099건의 전자기록물, (2) 질의집단은 장문10개와 단문10개 총20개, 그리고 (3) 적합성평가는 전문가 집단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한편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평가 실험은 기존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10명의 피실험자에 의하여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과 동일한 실험 컬렉션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재현율과 정확률에 의한 성능을 비교해본 결과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이 키워드 기반의 검색시스템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은 단문보다는 장문의 질의에서 다소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n ontology-based retrieval system for the electronic records of universities and to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keyword-based retrieval system. We used OntoStudio 1.4 for implementing an ontology-based retrieval system, and the test collection consisted of the following: (1) 5,099 electronic records of the 'personnel management notification' created by Korea Maritime University, (2) 20 topics (10 short-topics and 10 long-topics), and (3) the relevant assessments were conducted by the group of human experts. 10 university staff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keyword-based searching and used the same test collection as used in the experiment of ontology-based searching. The ontology-based retrieval system outperformed to the keyword-based retrieval system in terms of Recall and Precision, and it showed better results with long-topic than with short-topic typ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