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Twitter, 검색결과: 1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merging Web 2.0 services such as Twitter, Blogs, and Wikis alongside the poorly- structured and immeasurable growth of information requires an enhanced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 Ontology has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he last 10 years as an emerging approach for enhancing information organiz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penetration into curren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ntology implementation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es are addressed and emerging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es are presented. Two ontology data models, RDF/OW and Topic Maps, are compared and then ontology development processes and methodology with topic maps 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re addressed. The comparison of two data models allows users to choose the right model for ontology development.

12
김태영(전북대학교) ; 양동민(전북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9, Vol.36, No.2, pp.79-10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079
초록보기
초록

최근 공공기관에서 국민과 소통하는 방법의 하나로 소셜미디어를 활발하게 활용함에 따라 기록관리 영역에서도 이를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소셜미디어를 수집․보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영국 국립기록관에서는 이미 공공기관의 트위터와 유튜브를 대상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의 수집 및 보존 측면에서의 사례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셜미디어의 유형별 특징과 그에 따른 수집 방안과 보존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방안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상남도 도청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수집한 결과를 통해 수집 및 보존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차후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을 위한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Recently, various method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social media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s social media is actively used a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the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move to acquire and preserve social media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he National Archives (UK) already provides social media archives to users through Twitter and YouTube.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features, acquisition methods of social media by type and the preservation model based on case study results in terms of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of social media archiv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social media of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through actual collected result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the models for future social media archiving.

13
박서정(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수빈(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우정(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송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91-117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091
초록보기
초록

국내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정신질환 환자들은 자신이 질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해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울 증상이 방치되면 자살과 불안, 기타 심리적인 문제로 발전될 수 있기에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는 정신건강 증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소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우울 경향 모델을 제시하였다.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블로그, 하이닥, 트위터에서 데이터 수집을 한 뒤 DSM-5 주요 우울 장애 진단 기준을 활용하여 우울 증상 개수에 따라 클래스를 구분하여 주석을 달았다. 이후 구축한 말뭉치의 클래스 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TF-IDF 분석과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텍스트 특징을 활용하여 우울 경향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단어 임베딩과 사전 기반 감성 분석,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 별로 임베딩된 텍스트와 감성 점수, 토픽 번호를 산출하여 텍스트 특징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임베딩된 텍스트에 문서의 감성 점수와 토픽을 모두 결합하여 KorBER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우울 경향을 분류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정확률인 83.28%를 달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텍스트 특징을 활용하여 보다 성능이 개선된 한국어 우울 경향 분류 모델을 구축함에 따라,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중 잠재적인 우울증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빠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국 사회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The number of depressed patient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most of the mentally ill patients are not aware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the disease, so adequate treatment is not being performed. If depressive symptoms are neglected, it can lead to suicide, anxiety, and other psychological problems. Therefor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are very important in improving mental health.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presented a deep learning-based depression tendency model using Korean social media text. After collecting data from Naver KonwledgeiN, Naver Blog, Hidoc, and Twitter, DSM-5 major depressive disorder diagnosis criteria were used to classify and annotate clas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pressive symptoms. Afterwards, TF-IDF analysis and simultaneous word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of the corpus constructed. In addition, word embedding, dictionary-based sentiment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to generate a depression tendency classification model using various text features. Through this, the embedded text, sentiment score, and topic number for each document were calculated and used as text featur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accuracy rate of 83.28% was achieved when the depression tendency was classified based on the KorBERT algorithm by combining both the emotional score and the topic of the document with the embedded text. This study establishes a classification model for Korean depression trend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ing various text features, and detects potential depressive patients early among Korean online community users, enabling rapid treatment and prevention, thereby enabling the mental health of Korean societ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in promo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