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y statistics, 검색결과: 3
1
노동조(상명대학교) ; 조철현(성균관대학교) 2011, Vol.28, No.4, pp.263-278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서관 3.0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및 향후 유용성 정도, 대응전략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도서관 3.0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① 모바일 도서관, ② 시멘틱 검색, ③ 인공지능, ④ 클라우드 컴퓨팅, ⑤ 온톨로지, ⑥ 링키드 도서관의 순이었다. 도서관 3.0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은 ① 모바일 도서관, ② 링키드 도서관, ③ 시멘틱 검색, ④ 클라우드 컴퓨팅, ⑤ 인공지능, ⑥ 온톨로지의 순이었다. 그리고 도서관 3.0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도서관 경쟁력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개인적인 경쟁력으로만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개인의 경쟁력을 조직의 경쟁력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326 academic librarians awareness, usability and counter strategies on the Library 3.0. The results revealed the awareness level in the following order: that ① Mobile Library ② Semantic Search ③ AI(Artificial Intelligent) ④ Cloud Computing ⑤ Ontology ⑥ Linked Data. The order of the future usability for the Library 3.0 was ranked ① Mobile Library ② Linked Data ③ Semantic Search ④ Cloud Computing ⑤ AI and ⑥ Ontology. To conclude, the level of awareness and the usability of Library 3.0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are, however, some discrepancies in awareness differ across librarians and regions. Moreover, the level of awareness for the Library 3.0 did influence the library’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e individual librarian’s competences onl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을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 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세부항목별 요인들이 도서관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용자만족도 지표는 공공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6개 변인(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 전체 이용자만족도는 정보제공정도, 시설, 직원 변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서비스 및 프로그램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 중 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 전체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정보제공정도와 시설, 장서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user satisfaction in public libraries nationwide. It analyzes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patrons and identify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that affect the overall user satisfaction. User satisfaction factors were developed to measure library satisfaction in all aspects of the library service. Six variables were identified, including volume of books, staff, programs, facilities, online services, and information availability. According to survey findings, general library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availability, facilities, and staff. Relatively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in the areas of online services and programs. All six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ser satisfaction, where information availability, facilities, and volume of books showed stronger associations than the other three factors.

3
장혜란(상명대학교) ; 정유진(상명대학교) 2011, Vol.28, No.1, pp.237-26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237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들의 전자저널 수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5개 대학교에서 설강중인 11개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에 대한 인식과 이용 경험, 목적, 방법, 수준, 선호도, 만족도, 문제점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813건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일반의 전자저널과 서비스 인식 수준은 각각 63.7%와 59.9%, 이용경험자는 국내저널 43.8%, 해외 전자저널 18.0%로 나타났다. 인식경로는 교수 소개, 우연한 발견, 도서관이용교육을 통한 것이며, 이용빈도는 극히 낮다. 전공계열과 대학 규모에 따라 인식과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주된 이용 목적은 과제해결이고, 교외와 도서관내에서 이용하며, 간략검색을 한다. 접근 및 검색과 자료획득에 어려움이 있으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다. 비이용은 기회나 지식의 결여에 기인하나, 추후 수용의지는 긍정적으로(93.8%) 나타났다.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기타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및 자관서비스 인식, 전자저널 이용경험은 높지만, 검색 경로와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저널 수용 증진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ceptance of the electronic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collected from 813 students taking 11 courses offered in five different universities. The levels of electronic jounal and its service awareness appeared to be low as 63.7% and 59.9% respectively. Only 43.8% of the respondents report their experience of using Korean e-journal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 among college groups and students' major of study. E-journals are mostly used off-campus and within the library, using simple search techniques. In spite of difficulties in search and gathering information, the satisfaction level marked above average. Reasons of nonuse are lack of opportunity and knowledge. However, 93.8% of nonusers report a willingness to use the e-journals in the future. LIS students show higher e-journal awareness and use experience compared to non-LIS students. Yet, the levels of using simple search techniques and satisfaction show little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non-LIS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implications to promote the acceptance of e-journals among college student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