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ading interest, 검색결과: 8
1
강진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113-141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113
초록보기
초록

초등학교 시기는 독서 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 교육방안의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독서교육이 학생들의 상황적 흥미와 내재적 독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독서교육을 운영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시행 후 영향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황적 흥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독서수업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적 흥미는 교사의 독서수업과 내재적 독서 동기의 관계에서 가장 큰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독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Elementary school is a critical period for the students to form a reading habit.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ways of reading education that can promote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 applications of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by testing the relationship among reading education, student’s situational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ecuted several in-depth interveiws as a pilot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teacher’s reading instruc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the situational interest, and situational interest had the greates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ading instruction and the students’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 improvements in reading education were suggested for the students to form a good reading habi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유형과 흥미유형에 따른 독서 감상문에 나타난 독서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의 D과학고등학교 3학년 학생 81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분석 데이터, 흥미유형분석 데이터, 교과독서 활동으로 작성된 독서 감상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독서 감상문의 토픽 분석을 수행하고, 성격유형(사고형, 감정형)과 흥미유형(탐구형, 탐구형 외)에 따른 독서 감상문의 토픽 발현 확률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어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단어들의 개념 연결 구조를 측정하고, 중심성 지표를 통해 토픽모델링의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토픽 회귀분석을 통해 토픽2(이해와 공부)와 토픽3(읽기와 사고)에서 사고형(T)과 감정형(F)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토픽2(이해와 공부)에서 탐구형과 탐구형 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맞춤형 도서 추천이나 개인화를 고려한 독서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response to reading as shown in book reports by personality type and interest type. For this purpose, personality type analysis data, interest type analysis data, and book report data written in subject read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from 81 third graders at D Science High School in Daejeon. Top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book reports, and the probability of a topic being mentioned was statistically tested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thinking type, feeling type) and interest type (investigative type, types other than investigative). Subsequently, the conceptual connection structure of words was measured by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opic modeling were complemented by the centrality index.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inking type (T) and feeling type (F) in topic 2 (understanding and studying) and topic 3 (reading and thinki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vestigative type and non-investigative type in topic 2 (understanding and stud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ailored book recommendations and personalized reading education.

3
곽승진(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오상희(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팀장) ; 노지윤(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2020, Vol.37, No.4, pp.27-60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세종시립도서관 정보서비스 및 프로그램은 국내 지역대표도서관 및 해외도서관 사례들을 종합하여 제안한다. 제안의 특징으로 첫째, 세종시립도서관에서 제공가능한 정보서비스를 영역별, 이용자별, 자료 유형별, 매체별, 협력기관별 등으로 다양하게 제안한다. 둘째, 생애주기별 이용자프로그램을 강화하여 독서토론, 독서체험, 독서 이벤트 등의 다양한 연령별․관심별 독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성인, 어린이, 가족프로그램 등 세종시 인구 특성을 반영한 이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셋째,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한다. 넷째, 세종시립도서관에서 개발한 독서 프로그램을 지역 도서관과 협력하여 홍보 및 공유한다. 다섯째, 세종시 지역주민의 봉사 활동 및 재능 기부 등의 참여를 유도한다. 여섯째, 도서관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용자와의 상호 협력 채널을 개발한다.

Abstract

Sejong C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and programs proposed in this study are proposed by combining cases of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overseas libraries. As a feature of the proposal, first,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ejong City Library are proposed by area, by user, by data type, by media, by partner institution, etc. Second, by reinforcing user programs for each life cycle, various reading programs by age and interest, such as reading discussion,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vents, are provided. Reinforce user-based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jong City’s population, such as adult, child, and family programs. Third, secure and utilize maker space space. Fourth, the reading program developed by the Sejong City Library is promoted and shared in cooperation with local libraries. Fifth, induc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Sejong City, volunteer activities and talent donation. Sixth, propos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using library websites and social media, and develop channels for mutual cooperation with users.

4
김서령(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재(한성대학교) 2016, Vol.33, No.3, pp.371-398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3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독서경영과 문화경영이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활동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정도에 따라 직무자체 만족도, 인간관계 만족도, 자아실현 만족도, 정서적 몰입도, 지속적 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량, 독서시간은 직무자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시간은 정서적 몰입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기간은 사회적 인식 만족도, 지속적 몰입도, 규범적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체 만족도는 독서시간과 정서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사회적 인식 만족도는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기간과 지속적 몰입도 및 규범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경영 도입을 통한 직원 독서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도서관 운영진의 독서경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직원들의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직원들의 이용자 독서모임에 참여를 도모하고, 담당 직원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의 적극적인 독서활동을 위한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employees in public librarie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prov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business area. The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self-realiz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a book club. Additionally, the number of employees’ reading books and hours spent for read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hours spent for reading significantly influenced affective commitment. It was also found that participation continuity for a book club influenced on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recognition,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level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reading hour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from social recognition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continuity in a reading meeting,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plan for constructing a good environment for employees to read through introducing a reading management as follows. Firstly, managers of public libraries need to take an active interest in reading management and various programs to encourage employees to read need to be provided. Secondly, public libraries are required to encourage their employees’ participation in book clubs and support them, so that the employees a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book club consistently. Finally, institution-level consistent motivation is needed for an active reading activity.

5
이은경(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3, pp.179-20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인지발달 차이가 도서관의 이용행태, 독서성향,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4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인지발달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발달이 높은 6학년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요구가 4학년보다 많았으나 4학년에 비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이 적고, 흥미 위주의 책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 인지발달이 높다고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학년은 도서관 인식에서도 4학년보다 낮았다.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학생의 도서관 이용 정도, 도서 선정 시 사서의 도움 경험, 그리고 교과 연계 도서 선호도는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학년 이상의 고학년 초등학생 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n library behaviors, reading tendency and perception on the library of the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a cognitive development tes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their fourth and sixth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survey data. As a result, sixth grade students with the higher cognitive development had more requests for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than fourth grade students did. However, sixth grade students use library less and preferred to focus on the books for fun and personal interests, comparing with the fourth grade students. Their high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did not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library behaviors and reading tendency. In addition, perception on the library of sixth grade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fourth grade students and it was influenced by library behaviors and reading tendency. It was also influenced positively by frequent use of library, active support by librarians and reading curriculum-related books. Based on th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school library service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6
허영수(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 박지홍(연세대학교) 2021, Vol.38, No.2, pp.65-8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065
초록보기
초록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는 교육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한국어교육의 경우 교육 내용, 교수 방법, 교재 등에 비해 학습자 연구는 미진한 면이 있었다. 이에 학습자 연구, 그중에서도 학습전략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도출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전략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제목에 대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관련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읽기’이고, 대상은 ‘중국인 유학생’과 ‘결혼이민자’였다. 또한, 연구 주제에 대한 서브그룹 분석 결과를 보면 주요 서브그룹이 네 개가 나타나는데 ‘학문 목적 읽기’ 관련 그룹, ‘요청, 거절, 대화 등 화행’ 관련 그룹, ‘쓰기’ 관련 그룹, ‘어휘, 듣기’ 관련 그룹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관련해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 분야가 ‘읽기, 화행’ 등임을 알 수 있으며,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가 부분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다양한 분야와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are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howeve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of learn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analyze how learner research, especially learning strateg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derive areas that need research for better education. In this study, co-wor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itles of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strategy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found it is about “reading” that the most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were conducted and those studies’ subjects mostly we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immigra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b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topic show four major subgroups: a group related to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a group related to ‘request, rejection, conversation, etc.’, a group related to ‘writing’, and a group related to ‘vocabulary, listening’. This shows that the researchers’ major interests in studying Korean learner’s strategies are “reading” and “speaking” and their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specific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study various functions and subject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7
박지영(전북대학교) ; 백지연(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유현(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35, No.4, pp.165-193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165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콘텐츠는 사회적 관심이나 열람 요청이 많은 주제에 대해 신뢰성 있는 기록물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다. 그러나 기록정보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접근성의 어려움, 상세정보부족, 사용 용이성과 흥미 유도성이 낮은 전달방식, 맞춤형 콘텐츠 부족 등의 이슈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한 기록정보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의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유사 기관의 영상콘텐츠 활용 현황과 비교․분석하였다. 나아가 구체적인 유튜브 채널을 통한 기록정보콘텐츠 영상화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예시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의 인지도와 활용성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re organized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the records with a lot of social interest or request for reading.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accessibility of archival contents,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difficult to use and less interesting delivery method, and lack of customized content.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study proposed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through YouTube channel.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YouTube channel of the foreign agencies and the National Archives, and evaluate and compare them. Based on this, we propose and apply the process of the archival contents visualization using YouTube.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e recognition and usability of the contents informa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Records will be improved.

8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박미영(서울여자대학교) ; 이재권(동원대학교) 2011, Vol.28, No.1, pp.195-22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9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s public interests and demands on the library space and library goods increase, the role of librarians dealing with this issu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research develops lists of core and non-core goods in space managements of public libraries, children's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The lists will make the librarian's tasks effective and maximize user satisfaction. For public libraries, the space is divided into nine main areas, and a total of 80-90 goods(50-60 core and 20-30 non-core goods) are identified. The space of children's libraries is divided into four main areas(space for reading, books, entry, and special activities) with a list of 60-70 library goods(30 core and 30-40 non-core goods). School libraries consist of seven distinctive spaces, including spaces for books, multi-media, reading, and teaching, and it requires 90 goods in total(30-40 core and 50-60 non-core go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listing up library good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such tools as guidelines, standards and manuals for space managem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