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관종별 공간구성을 위한 핵심 도서관용품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List Development of Library Goods by Library Typ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1, v.28 no.1, pp.195-22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95
안인자 (동원대학교)
노영희 (건국대학교)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이재권 (동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library goods, good list, space management,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hildren library, library space marketing, library goods, good list, space management,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hildren library, library space marketing, 도서관용품, 용품리스트, 구매업무, 공간구성,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 도서관 공간 마케팅

Abstract

As public interests and demands on the library space and library goods increase, the role of librarians dealing with this issu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research develops lists of core and non-core goods in space managements of public libraries, children's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The lists will make the librarian's tasks effective and maximize user satisfaction. For public libraries, the space is divided into nine main areas, and a total of 80-90 goods(50-60 core and 20-30 non-core goods) are identified. The space of children's libraries is divided into four main areas(space for reading, books, entry, and special activities) with a list of 60-70 library goods(30 core and 30-40 non-core goods). School libraries consist of seven distinctive spaces, including spaces for books, multi-media, reading, and teaching, and it requires 90 goods in total(30-40 core and 50-60 non-core go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listing up library good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such tools as guidelines, standards and manuals for space management.

keywords
library goods, good list, space management,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hildren library, library space marketing, library goods, good list, space management,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hildren library, library space marketing, 도서관용품, 용품리스트, 구매업무, 공간구성,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 도서관 공간 마케팅

참고문헌

1.

강윤호. (2005). 공공도서관 어린이열람실 공간 계획에 따른 가구배치에 관한 연구.

2.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

3.

경기도교육청. (2009). 경기도교육청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자료기준:경기도교육청.

4.

교육인적자원부. (2002). 학교도서관시설․설비 모형개발안:교육인적자원부.

5.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www.libsta.go.kr/view/potal/ statsch/uLibStatResultMap.jsp.

6.

국립중앙도서관. (2007). 도서관 공간운영실태 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국립중앙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2007). 07 도서관건축사례집.

8.

노영희. (2011). 도서관용품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25-147.

9.

박지민. (2003). 유아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가구배치 유형 계획을 위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127-136.

10.

서울특별시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서울특별시교육청.

11.

서혜란. (2008).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131-156.

12.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57-84.

13.

신동준. (2009).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65-179.

14.

안인자. (2010). 도서관용품 표준화 및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서울국립중앙도서관.

15.

이수경. (2007). 최근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7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7(1), 113-116.

16.

한국도서관협회. (1994). 학교도서관 비품 권장기준:한국도서관협회.

17.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 기준. 한국도서관협회.

18.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한국도서관협회.

19.

한국도서관협회 편람편찬위원회. (1994). 도서관 정보관리 편람:한국도서관협회 편람편찬위원회.

20.

황연숙. (2007). 공공도서관의 가구배치 특성에 관한 사례조사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 포스터논문발표.

21.

Brown, Carol R. (1989). Selecting library furniture: a guide for librarians, designers, and architects:Oryx Press.

22.

Brown, Carol R. (2002). Interior Design for Libraries: Drawing on Function and Appeal: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3.

IFLA. (2001). IFLA/UNESCO guidelines: The Public Library Guidelines. http://archive.ifla.org/VII/s8/proj/p ubl97.pdf.

24.

IFLA. (2002). IFLA/UNESCO guidelines: School Library Guidelines. http://www.ifla.org/VII/s11/pubs/s guide02.pdf.

25.

Libris Design. http://librisdesign.org/.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