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1, v.28 no.4, pp.65-83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65
조재인 (인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분야에 게재된 논문 1,752건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주제 개념의 분포와 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보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2년 사이에 연구된 482건을 추출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 분야는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며, “평가”, “교육”, “웹”은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내 다양한 문헌정보학의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연구되고 있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최근 2년간을 대상으로 한 2차 분석 결과에서는 “웹”, “분류” 개념이 종전보다 높은 상대 빈도를 보였으며,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에서는 “이용자” 연구와 “공공도서관” 개념이 종전보다 더 다양한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network tex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twork tex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빈도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문헌정보학, 연구 경향

Abstract

In this study, Network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1,752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recent 7 years and drew the subject concept distribution and their relat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reas. Furthermore, for analyzing more recent trends and changing aspects, this study performed secondary analysis based on 482 articl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Results show that “public library”, and “academic library” concepts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in the field and “evaluation”, “education”, and “web” concepts showed the highest-degree centrality during the recent 7 years. In the result of recent two years analysis, “web”, and “classification” concepts showed high frequency and “user”, and “public library” showed an improvement in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network tex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twork tex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빈도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문헌정보학, 연구 경향

참고문헌

1.

김용학. (2004). 사회 연결망 이론:박영사.

2.

김정현. (2011). 한국의 자료조직 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70∼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149-164.

3.

김희정. (2011).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35-248.

4.

남인용.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8.

5.

박옥남. (2011). 정보조직 지식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2011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247-267.

6.

박한우.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7.

송정숙. (2010).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33-353.

8.

서은경. (2010).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동향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7(4), 7-32.

9.

손정표. (2003).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1959~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21-42.

10.

심준섭. (2011).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행정연구, 20(2), 183-212.

11.

심홍진. (201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4), 82-138.

12.

오세훈. (2005). 우리나라의 정보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1), 167-189.

13.

윤구호. (2001). 저자동시 인용분석에 의한 1990년대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지, 32(3), 169-197.

14.

윤희윤. (2011).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성과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25-44.

15.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16.

이수상. (2011).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 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05-125.

17.

장하용. (2001). 언론보도와 비평의 구조: 신문보도의 비평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16, 108-133.

18.

정재영. (2011).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71-191.

19.

정진식. (1994). 사회과학문헌 인용분석연구 - 경제학.문헌정보학․행정학 중심. 정보관리학회지, 11(2), 31-48.

20.

최영출.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21.

최일영. (2010).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도서관 학술DB 이용 패턴 연구: K대학도서관 학술DB 이용 사례. 정보관리학회지, 27(1), 25-40.

22.

Carley, K.M. (1997). Extracting Team Mental Models through Textual Analysi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533-558.

23.

Carley, K. M. (2007). Toward an Interoperable Dynamic Network Analysis Toolkit. Decision Support System, 43(4), 1324-1347.

24.

Corman, Steven R. (2002). Centering Resonance Analysis of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2), 157-206.

25.

Popping, R. (1997). Network Approaches in Text Analysis (381-898).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Organization: Proceedings of the 20th annual conference of the Gesellschaft fur Klassifikation. Springer.

26.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Sage Publications.

27.

Popping, R. (2003). Knowledge graphs and Network Text Analysis. Social Science Information, 42(1), 91-106.

28.

Sowa, J. F. (1984).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Addison-Wesley.

29.

Smith, M. (2009).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Learning by Doing with NodeXL. http://casci.umd.edu/images/4/46/NodeXL_tutorial_draft.pdf.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