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성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2, v.29 no.1, pp.303-32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03
이미경 (한성대학교)
문성빈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성과관리에 기여하고자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한 효율성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이 분석모형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효율성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미 국내외 연구에서 기존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나, 도서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측정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도출을 시도한 연구도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해봄으로써 효율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공공도서관에 투입량을 기준으로 산출량은 증가될 수 있으므로 현재 투입 수준에 맞게 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으로 투입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효율성 영향요인은 이용자수, 물리적 환경, 전문 인력, 문화 프로그램 기획력, 전자자료 등으로 분석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자수, 전문 인력, 문화프로그램 기획력이 효율성과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성과관리, 기술효율성, 부분효율성, 효율성 분석모형, 전문 인력, 사서, public libraries, performance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models, technical efficiency, partial efficiency, professional, librarians

Abstract

This study measures the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library services, and management to contribute to the proposed model for efficiency analys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n public libraries. This analysis model of applying the empirical research pursues the solutions to provide efficiency.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study the measurement of the efficiency, mere application of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e other public sectors has led to the inadequate measurement for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s.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made to deduce a general theory for the study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n this study, an analysis model that reflect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in library services is suggested to be analyzed empirically, and this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efficiency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fficiency of current public libraries can be increased on the basis of input and output. Therefore the commit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output to meet the current need shall continue by the amount, rather than by the commitment to reduce the level of input.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are the number of users, the physical environment, professional staffs, events planning, and electronic resources. After analyzing the five factors vi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professional staff and events planning proved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efficiency.

keywords
공공도서관, 성과관리, 기술효율성, 부분효율성, 효율성 분석모형, 전문 인력, 사서, public libraries, performance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models, technical efficiency, partial efficiency, professional, librarians

참고문헌

1.

곽영진. (1999).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효율성 평가 : 충청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회계연구, 4(1), 151-176.

2.

곽영진. (2009). 문화서비스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효율성 비교.

3.

김선애. (2005).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21-239.

4.

김재홍. (2001). 공공부문의 효율성 평가와 측정:집문당.

5.

김정린. (2005). 비영리조직 경영:아르케.

6.

문성빈. (2009).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321-350.

7.

문성빈. (2006). 공공도서관 평가제도 연구 (127-150).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자원봉사자 현황 분석.

9.

배순자. (2008). 도서관 민간 위탁경영제도 개선에 관현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10.

손희준. (1992). 한국 도시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성과측정: 쓰레기수거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7(3), 71-89.

11.

유금록. (2004). 공공부문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대영문화사.

12.

윤경준. (2003). 공공부문 효율성 측정을 위한 DEA의 활용:평가와 제언. 정부학연구, 9(2), 1-31.

13.

전용수. (2002).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인하대학교 출판부.

14.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 2009:한국도서관협회.

15.

함요상. (2007).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전환의 논거: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공급방식간 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충남대학교.

16.

홍기원. (2004).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문화예술서비스의 효율성 측정 : 정부 및 비영리 조직의 비교.

17.

Banker, R. D..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d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18.

Charnes, A.. (1994). Data envelopment analysis : Theory, methodology, and application: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Coelli, T. J, . Rao, D. S. P.. (2005). An introduction to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2nd ed.):Springer.

20.

Frumkin, P.. (2001). Strategic positioning and the financing of nonprofit organizations: Is efficiency rewarded in the contributions marketpla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3), 266-275.

21.

Ganley, J. A.. (1992). Public sector efficiency measurement :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North-Holland.

22.

Harty, H. P.. (1992). Measuring productivity in the public sector, In Public handbook:Maecel Decker Inc.

23.

Hewiit, J. A.. (2000). Agency costs in environmental not-for profits. Public Choice, 103, 163-183.

24.

Leibenstein, H.. (1966). Allocative efficiency vs. X-efficiency. American Economics Review, 56(3), 392-416.

25.

Sharma, K. R.. (1999). Performance measurement of Hawaii state public libraries :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 Review, 28(2), 190-198.

26.

Vitaliano, D. F.. (1997). X-inefficiency in the public sector : The case of libraries. Public Finance Review, 25(6), 629-643.

27.

Vitaliano, D. F.. (1998). Accessing public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nu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69(1), 107-122.

28.

Worthington, A. C.. (1999). Performance indicators and efficiency measurement in public libraries. Australian Economic Review, 32(1), 31-42.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