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우리나라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필요성 연구(1800-1910)

The Needs of Digital Archive Development for the Records of Early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1800-1910)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3, v.30 no.4, pp.265-28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265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우리나라 초기 개신교 선교사에 대한 역사는 19세기 말 쇄국정치가 막을 내리고 서구문명에 대한 문이 열리면서 외국인 선교사들이 의사 혹은 교사 등의 전문가 신분으로 들어와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선교사들의 기록물은 단순한 종교적인 가치를 넘어 우리나라 근대 역사, 정치, 경제, 사회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 선교사 자료의 역사적인 가치는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책이나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시도는 현재까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 서적, 정기간행물, 일기, 편지, 사진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는 초기선교사 자료는 현재 이들을 파송한 선교회, 신학대학, 정부기관, 도서관, 박물관, 연구소, 선교사 가족 등에 산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에 대한 현황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 자료의 아카이브 현황과 향후 체계화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에 개신교 선교사가 처음 들어오기 시작한 1800년대부터 일본강점기 이전 1910년으로 제한하였다.

keywords
초기외국인선교사, 선교사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 정보요구, early foreign missionaries, missionary records, digital archive, information needs

Abstract

The early history of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has begun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y came to work as professionals such as teachers, medical doctors, etc. as the nation opened its door to western culture with the fall of national isolationism. Their records are considered crucial resources that enable us to shed new light on modern Korean history,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eyond mere religious value. Despite the recognition of such historic value of early missionary resources, however, there has been serious lacking of a systematic attempt to develop policies and plans for making it easy to collect, preserve and access the resources. Up to date, the records of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n diverse forms of mission reports, books, periodicals, personal diaries, letters and photos, are scattered around various places, including their home country churches, governments, libraries, museums, research institutes and hom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providing basic resources on the archival status of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needed for developing a sustainable and systematic digital archive syste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early foreign missionaries’ resources and in-depth interviews of experts. The study covers the period of 1800s to 1910, that is from the beginning of Protestant missionaries entering into Korea until the start of the Japanese annexation in 1910.

keywords
초기외국인선교사, 선교사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 정보요구, early foreign missionaries, missionary records, digital archive, information needs

참고문헌

1.

강순애. (2008).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39-60.

2.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3.

류대영. (2004).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4.

백영주. (2005). 여성사 관련 자료의 보존 현황과 관리방안 : 해방이후~1980년대 여성정책 및여성단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5-21.

5.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6.

이광호. (1987).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활동과 성격에 관한 연구 : 1888-1895를 중심으로. 원우론집, 15, 193-218.

7.

이덕주. (1995). 초기한국 기독교사 연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8.

이만열. (1985). 한국 초대교회 선교사 아펱젤러. 기독교사상, 332, 60-75.

9.

이만열. (2001). 선교사 언더우드의 초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와 역사, 14, 9-46.

10.

장윤금. (2010).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93-203.

11.

최은주. (2009). 웹 구술사료(口述史料) 아카이브 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4), 277-298.

12.

한국기독교사연구회. (1989). 한국기독교의 역사 1:기독교문사.

13.

함한희. (2006).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3-42.

14.

홍치모. (1984). 초기 미국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 신학지남, 201, 128-139.

15.

McKemmish, S.. (2005). Communities of memory : Pluralising archival research and education agendas. Archives and Manuscripts, 33, 146-174.

16.

Ryu, D. Y.. (2001). Understanding early American missionaries in Korea(1884-1910) : Capitalist middle-class values and the Weber thesis. Archives de Sciences Sociales des Religions, 113, 93-117.

17.

Underwood, E.. (2003). Travel in Korea : Missionary encounter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78, 3-19.

18.

Underwood, E.. (2004). Challenged identities : North American missionaries in Korea, 1884-1934:Royal Asiatic Societ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