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Common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4, v.31 no.2, pp.189-20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189
윤은하 (전북대학교)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전경선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보광장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광장 의미와 목적, 새로운 도서관 환경에서의 역할, 도서관의 본질과 발전 방향, 그리고 정보광장 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28명을 인터뷰한 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은 1) 정보광장의 전통적인 학술 연구 기능만을 강조하여 이를 학술연구 시설로만 이해하는 유형, 2) 정보광장을 학술연구를 위한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하면서 아울러 문화융복합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형, 3) 정보광장을 창조적 기능이 강조된 학술문화 복합시설로 이해하는 유형의 3가지로 대별되었다. 이는 정보광장 이용자 이용행태에 대한 평가와 도서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정보광장, 정보광장 사서, 사서 인식, 이용자 이용행태, 도서관의 역할, Information Commons, learning commons, librarians’s perception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role of library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librarians’ perceptions of Information Commons(I.C.),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new role of library in the digital ages. Interviews with 28 librarian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ians were widel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the space. The interview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librarians: the librarians; 1) understanding library as a place only with academic functions, 2) library as academic place along with multi-cultural functions, and 3) library as open learning space with focus on creativity and discovery of users.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all these perceptions are close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ibrary and its future development.

keywords
정보광장, 정보광장 사서, 사서 인식, 이용자 이용행태, 도서관의 역할, Information Commons, learning commons, librarians’s perception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role of library

참고문헌

1.

김지혜. (2012). 조직관점에서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대한 사서의 저항요인 고찰 (21-24).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

남태우. (2012). 공공도서관의 IC 적용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3(1), 23-39.

3.

오동근. (2010).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이용자와 직원의 인식 비교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1(3), 85-104.

4.

정미경. (2008).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09-146.

5.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67-87.

6.

한희정. (2010).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193-217.

7.

Accardi, A.. (2010). Reviewing the library learning commons:History, models, and perspectives. College & Undergraduate Libraries, 17(2-3), 310-329.

8.

Beagle, D.. (1999). Conceptualizing an information common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82-89), 310-329.

9.

Cowgill, A.. (2001). Implementing an Information Commons in a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6), 432-439.

10.

Demas, S.. (2005). From the Ashes of Alexandra: What’s happening in the college library? library as place: Rethinking roles, rethinkning space. CLIR.

11.

Fitzpatrick, E.. (2008). Reference librarians at the reference desk in a learning commons : A mixed methods evaluation.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4(3), 231-238.

12.

Glaser.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Aldine Publishing Company.

13.

MacWhinnie, L. A.. (2003). The Information Commons : The academic library of the future. Portal : Libraries and the Academy, 3(2), 241-257.

14.

Moore, A.. (2009). Connecting 24/5 to millennials : Providing academic support services from a learning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5(1), 75-85.

15.

Steiner, H.. (2009). The Past, present, and possibilities of commons in the academic library. The Reference Librarian, 50, 309-332.

16.

Tyckoson, D.. (2011). Issues and trends in the management of reference services : A historical perspectiv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 259-278.

17.

Wolfe, Naylor. (2010). The role of the academic reference librarian in the learning common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0(2), 108-113.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