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 분석 평가: 네이버와 구글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Evaluation of Video Search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Naver versus Google Korea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4, v.31 no.3, pp.181-20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181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요 검색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분석,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 코리아를 대상으로 동영상의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 중복 동영상의 비중, 광고 동영상의 비중 및 특징, 검색 결과의 화질 등을 조사하고, 동영상의 적합도, 신뢰도, 최신성을 비교, 평가였다. 또한, 동영상의 적합도,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영상들 중 오류 동영상의 유형 및 특징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구글이 네이버보다 동영상의 적합도가 높고, 네이버가 구글보다 동영상의 최신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의 화질은 구글이 네이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글과 네이버 모두 중복되는 동영상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광고 동영상은 네이버에서 구글보다 더 많이 노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검색 포털, 동영상 검색, 웹 검색, 정보 검색, search portals, video search, web searching, information retriev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video search services of major search portals, Naver and Google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such as collection distribution, yearly distribution, the ratio of redundant search results, the ratio of advertising, and the quality of videos. This study also evaluated relevance, credibility, and currency of video search result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levance and credibility. Finall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rror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evance of Google’s video search results is higher than those of Naver, whereas currency of Naver’s search results is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Google. Google has more high resolution videos than Naver, and Naver has more advertising than Google. Both Google and Naver return many redundant videos in the 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video search services.

keywords
검색 포털, 동영상 검색, 웹 검색, 정보 검색, search portals, video search, web searching, information retrieval

참고문헌

1.

구상옥. (2014). 긴 비디오에서 유명인의 얼굴을 어떻게 찾을까? : 동영상 내에서 얼굴 인식, 추적, 검색 및 시각화 프레임워크 (175-17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4.

2.

김성희. (2004). 내용기반 이미지 및 비디오 검색 시스템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97-115.

3.

김영기. (2007). 웹 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93-111.

4.

김영기. (2010).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 신뢰지수 및 신뢰성 평가요인. 정보관리학회지, 27(1), 7-24.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1.007.

5.

김용. (2009). XML 기반의 동영상콘텐츠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보관리학회지, 26(4), 113-128. http://dx.doi.org/10.3743/KOSIM.2009.26.4.113.

6.

김장희. (2008). 장면 전환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검색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 전자공학회논문지 - SP, 45(3), 30-36.

7.

김주섭. (2008). 불법복제 검출을 위한 내용기반 동영상 필터링 기술 (41-44). 한국 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

김홍렬. (2000). 적합성 평가기준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4), 139-164.

9.

나상일. (2010). 블록 비교를 이용한 내용기반 동영상 복사 검색용 영상 지문. 전자공학회논문지 - SP, 47(5), 136-144.

10.

노정순. (2004). Invisible Web 탐색도구의 성능 비교 및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1(3), 203-226. http://dx.doi.org/10.3743/KOSIM.2004.21.3.203.

11.

맹성현. (1999). 정보 검색 시스템 평가를 위한 균형 테스트 컬렉션 구축. 정보관리학회지, 16(2), 135-148.

12.

박소연. (2011). 검색 포털의 클릭 집중 문서 분석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25-338.

13.

박소연. (2011).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263-280.

14.

박소연. (2008). 주요 검색 포탈들의 통합 검색 서비스 비교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65-278.

15.

박소연. (2006). 지식 검색 서비스 개선을 위한 문서의 적합도 및 신뢰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299-314. http://dx.doi.org/10.4275/KSLIS.2006.40.2.299.

16.

박주현. (2003). 문맥을 고려한 예제 기반 동영상 검색 알고리즘. 정보과학회논문지: 시스템 및 이론, 30(11․12), 756-771.

17.

방준원. (2008). 내용 기반 동영상 검색 시스템 (412-41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

서기민. (2009). 디지털 포렌식 수사를 위한 유사 동영상 파일 탐지 (366-368).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

원인수. (2011). 장면의 유사도 패턴 비교를 이용한 내용기반 동영상 분할 알고리즘.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4(10), 1252-1261.

20.

유투브. (2014). 동영상 품질.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1449?hl=ko.

22.

이지현. (2009). 국내외 UCC 동영상 사이트에 관한 평가 자료와 목차 비교 분석을 통한 UCC 동영상 사이트의 사용자 관점 분석. 디자인학연구, 22(1), 39-51.

23.

이현덕. (2011). 블록 차이를 이용한 유사 동영상 검출 및 클러스터링.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38(9), 477-484.

24.

임여선. (2013). 블록 히스토그램 및 동적 매칭을 이용한 중복 동영상의 빠른 검출.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40(2), 122-131.

25.

정재협. (2012). 시공간 순차 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복사 동영상 검출. 전자공학회논문지 - SP, 49(2), 113-121.

26.

조미남. (2011). 동영상에서 인물식별을 위한 얼굴검출 알고리즘 구현.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1), 85-91.

27.

진주경. (2011). 움직임과 영상 패턴 서술자를 이용한 중복 동영상 검출. 전자공학회논문지 - SP, 48(4), 107-115.

28.

최갑근. (2008). 변형에 강인한 내용기반 동영상 검색방법 (215-2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9.

최상기. (2000).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7(4), 137-155.

30.

Albertson, D.. (2010). Analyzing user interaction with the ViewFinder video retrieval system.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1(2), 238-252.

31.

Alertson, D.. (2012). Examining feedback in interactive video retrieval.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8(6), 501-511.

32.

Aly, R.. (2013). The uncertain representation ranking framework for concept-based video retrieval. Information Retrieval, 16(5), 557-583.

33.

Arkin, H.. (1963). Tables for Statisticians:Barnes & Noble Inc.

34.

comScore. (2014). comScore releases June 2014 U.S. online video rankings. http://ir.comscore.com/releasedetail.cfm?ReleaseID=860971.

35.

박소영. (2012). 검색엔진 최신정보검색론:휴먼싸이언스.

36.

Enser, P.. (2004). Content-based video retrieval : A database perspective. Journal of Documentation, 60(5), 586-588.

37.

Jansen, B. J.. (2005). How are we searching the World Wide Web? A comparison of nine search engine transaction log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2(1), 248-263.

38.

Kim. H.. (2011). Toward video semantic search based on a structured folksonom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2(3), 478-492.

39.

Jesus, R.. (2011). Methods for automatic and assisted image annotation.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55(1), 7-26.

40.

Julien, L.. (2011). Voxalead: How to search for information in videos automatically enriched and indexed (1-4).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1.

Kompatsiaris, I.. (2011).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image and video retrieval : Theory and applications.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55(1), 1-6.

42.

Liu, J.. (2013). Near-duplicate video retrieval. ACM Computing Surveys, 45(4), 1-23.

43.

Smeaton, A. F.. (2004). Indexing, browsing and searching of digital video.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8(1), 371-407.

44.

Tao, D.. (2011). Search strategy effectiveness and relevance of YouTube videos (1-4).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5.

Voorhess, E. M.. (2014). Common evaluation measures (-). In the Twenty-Second Text REtrieval Conference (TREC 2013).

46.

Wu, X.. (2007). Practical elimination of near-duplicates from Web video search (218-227).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Multimedia.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