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만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저 네트워크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Co-authorship Network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aiwa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2, pp.167-192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167
이용구 (계명대학교)
우윤희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 지역의 여러 나라 중 대만을 대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만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 8개를 대상으로 연구 통계와 공저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 통계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단독 저술이 가장 많으며, 공저 논문의 경우 저자가 2-3인이 가장 많았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대만 국립대 교수를 주축으로 주요 저자별로 공저의 범위와 강도가 높았으며, 이들과 공저한 저자들은 대학원생 또는 대학도서관 사서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대만 문헌정보학 분야의 고유한 특징으로, 현장과 밀접히 관련된 연구가 주로 게재되는 학술지가 존재하며, 이러한 학술지를 중심으로 현장 사서들의 연구 참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co-authorship networks,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aiwan, centrality analysis, network component analysis, 공저 네트워크, 공동 연구 네트워크, 대만 문헌정보학, 중심성 분석, 컴포넌트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field in Asian countries, focusing on the case of Taiwan.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obtained statistical data and co-authorship networks based on eight major LIS journals in Taiwan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case of South Korea. In Taiwan like Korea, papers published by a single-author and 2 to 3 co-authors were the most common.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leading professors in the national-level university in Taiwan have strong and distinctive ties in the network. Additional uniqu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collaboration in Taiwan include the existence of journals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in the field of LIS and active research participation involving librarians who publish papers in these journals.

keywords
co-authorship networks,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aiwan, centrality analysis, network component analysis, 공저 네트워크, 공동 연구 네트워크, 대만 문헌정보학, 중심성 분석, 컴포넌트 분석

참고문헌

1.

손정표. (1981). 臺灣의 圖書館學敎育. 국회도서관보, 18(4), 37-46.

2.

우윤희. (2014).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353-379.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3.353.

3.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4.

이수상. (2011).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 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05-125.

5.

이수상. (2013).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405-428.

6.

이재윤. (2013).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7.

이재윤. (2014).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지수에 대한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3), 153-179.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153.

8.

조형진. (1989). 韓中兩國의 大學圖書館基準에 관한 比較硏究: 圖書館法施行令의 長短點과 아울러. 圖書館學, 5(1), 33-55.

9.

國家圖書館. (2014). 中華民國103年圖書館年鑑:國家圖書館.

10.

王梅玲. (2007). 臺灣圖書館學敎育史. 圖書與資訊學刊, 63, 47-63.

11.

董采維. (2014). 從碩士論文口試委員探討臺灣圖書資訊學界社會網絡及研究主題多樣性. 圖書館學與資訊科學, 40(2), 47-66. http://dx.doi.org/10.6245/JLIS.2014.402/630.

12.

Borgatti, S. P.. (2002).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Analytic Technologies.

13.

Liu, X.. (2005). Co-authorship networks in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community.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1(6), 1462-1480.

14.

Newman, M. E. J.. (2001).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I. Shortest paths, weighted networks, and centrality. Physical Review E, 64, 016132-.

15.

教育資料與圖書館學. http://joemls.dils.tku.edu.tw.

16.

圖書資訊學研究. http://lac3.glis.ntnu.edu.tw/about.php.

17.

圖書資訊學刊. http://jlis.lis.ntu.edu.tw.

18.
19.
20.

大學圖書館. http://univj.lib.ntu.edu.tw/.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