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

A Generalized Measure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2, pp.7-23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007
이재윤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네트워크 분석이 확산되면서 매개중심성이나 연결정도중심성과 같은 다양한 중심성 지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가중 네트워크에서 지역중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는 최근접이웃중심성 이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인 이웃중심성 지수를 새롭게 제안한다. 이웃중심성 지수는 파라미터 α를 사용하여 이진 네트워크를 위한 연결정도중심성 지수와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최근접이웃중심성 지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6가지 실제 네트워크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제안된 지수의 특징과 적정 파라미터 값을 살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보고하였다.

keywords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지수, 가중 네트워크, 지역중심성, 이웃중심성, network analysis, centrality measures, weighted networks, local centrality, neighbor centrality

Abstract

While there are several measures for node centralities, such as betweenness and degree, few centrality measures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developed a generalized centrality measure for calculating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Neighbor centrality,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degree centrality for binary networks and the nearest neighbor centrality for weighted networks with the parameter α. The characteristics of suggested measure and the proper value of parameter α are investigated with 6 real network datasets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keywords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지수, 가중 네트워크, 지역중심성, 이웃중심성, network analysis, centrality measures, weighted networks, local centrality, neighbor centrality

참고문헌

1.

강범일. (2013).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4), 195-213.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195.

2.

강범일. (2014). 트위터 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3), 293-311.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293.

3.

김원진. (2010).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7(3), 103-123.

4.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265.

5.

서선경. (2013).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07-228.

6.

유종덕. (2013). 경기도 공공도서관 상호대차 네트워크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2), 83-99.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2.083.

7.

이은숙. (2002). 복수저자를 고려한 동시인용분석 연구: 정보학과 컴퓨터과학을 대상으로. 지식처리연구, 3(2), 1-26.

8.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9.

이재윤. (2012). 폭소노미 연구 문헌에 대한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4), 295-312.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4.295.

10.

이재윤. (2013).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11.

이재윤. (2014).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지수에 대한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3), 153-179.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153.

12.

조선례. (2012). 약학 분야 학술정보서비스를 위한 학술지 동시인용 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3(1), 159-185.

13.

최상희. (2014).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이용한 연관영화정보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4), 161-178.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4.161.

14.

Barrat, A.. (2004). The architecture of complex weighted networks (3747-3752).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5.

Fagiolo, G.. (2010). The evolution of the world trade web: A weightednetwork analysis. Journal of Evolutionary Economics, 20(4), 479-514.

16.

Goldenberg, J.. (2010). Database submission: The evolving social network of marketing scholars. Marketing Science, 29(3), 561-567.

17.

Newman, M. E. J.. (2004). Analysis of weighted networks. Physical Review E, 70(5), 056131-.

18.

Opsahl, T.. (2010). Node centrality in weighted networks: Generalizing degree and shortest paths. Social Networks, 32(3), 245-251.

19.

Shim, Jiyoung. (2013). An investigation on using TV contents for scholarly purpos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