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의 지식구조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Network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3, pp.317-340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317
김은주 (중앙대학교)
남태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정신의학 국제공동연구 협력망 구축을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에 중점을 두어 정신의학 국제공동연구의 공저관계를 반영하는 지식구조를 규명하였다. 먼저 국가 레벨에서의 지식구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년 간 공동연구 비율은 89.97%로 높은 편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국제공동연구의 비율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시아 국가들 간의 협업은 저조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국제공동연구 논문 수 및 중심성 값이 가장 높은 국가(또는 집단)는 EU-28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성과 레벨에서의 지식구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심성과 연구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세 가지 중심성 지표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중심성이 높은 국가는 연구성과도 좋았다.

keywords
국제공동연구, 공저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석, 연구성과, 정신의학, international collaboration, coauthorship networks, networks analysis, research output, psychiatry

Abstract

This study clarifi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based on analyzing networks in order to construct cooperation network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at a state-level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rate of collaboration for five years is high as 89.97%.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rate of collaboration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ascertained that while the rat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as increased,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research on collaboration between Asian countries, and found that collaboration between Asian countries is on a low level. Third, the country (or group) that the number of paper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the value of centrality are the highest is EU-28. The result of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at a research output-level is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centrality with research output, and found that positive correlation exists in the three indicators of centrality, and a country with high centrality has good research output.

keywords
국제공동연구, 공저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석, 연구성과, 정신의학, international collaboration, coauthorship networks, networks analysis, research output, psychiatry

참고문헌

1.

김용학. (2004). 사회 연결망 이론:박영사.

2.

김용학.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좁은 세상과 위치효과. 한국사회학, 41(4), 68-103.

3.

김원진. (2010).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 분석.

4.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5.

안규정. (2003).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공동연구 현황: Sci논문 공저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13(4), 124-135.

6.

이광희. (2007). 지식지도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7.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8.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논형.

9.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10.

(2015). 국가 및 지역정보. http://www.mofa.go.kr/countries/index.jsp?menu=m_40.

12.

윤종민. (2008). 국가공동연구개발 특허의 귀속 및 활용 법리. 기술혁신학회지, 11(4), 532-564.

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2011년 보건산업 기술수준조사: 주요 분야별 전문가 동향분석 및 제언. 복지부.

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정신질환분야 r&d 동향 및 시사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5.

한국연구재단. (2015). 2015년 의약학 RB분야 설명 및 활용 guide. 한국연구재단.

16.

홍성호. (2010).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에 근거한 충남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식 네트워킹 분석. 국토계획, 45(4), 183-196.

17.

Crane, D.. (1969). Social structure in a group of scientists: A test of the ‘invisible college’ hypo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4, 335-352.

18.

Gazni, A.. (2012). Mapping world scientific collaboration: Authors institutions, and countr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2), 323-335. http://dx.doi.org/10.1002/asi.21688.

19.

Han, P.. (2014).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LIS:Global trends and networks at the country and institution level. Scientometrics, 98(1), 53-72. http://dx.doi.org/10.1007/s11192-013-1146-x.

20.

Katz, J. S.. (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1), 1-18.

21.

Lariviere, V.. (2013). Internation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mental health research, 1980-2011.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23(11), 1340-1347. http://dx.doi.org/10.1016/j.euroneuro.2013.01.006.

22.

Lewison, G.. (2001). International gastroenterology research: Subject areas, impact, and funding. Gut, 49(2), 295-302.

23.

Patel, V.. (2001). International representation in psychiatric literature - Survey of six leading journal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8, 406-409.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Strengthening mental health promotion. WHO.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