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이용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ibrary Space Use Patterns to Determine its Optimum Utilizatio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6, v.33 no.1, pp.225-245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225
박성재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행동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법을 이용했다. 총 108명이 참여를 했고 이들 중 84명이 다이어리를 작성했다. 제출된 다이어리 중 내용을 충실히 작성한 14명의 참여자와 도서관 이용행태, 이용시 문제점 및 요구사항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이어리와 인터뷰 분석결과, 공간계획 측면에서 이용되지 않은 공간이나 기기들의 이용률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과 서가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접근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도서관 이용시간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이용행태 및 이용률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keywords
도서관, 이용패턴분석, 다이어리, 앱, library, use pattern analysis, diary, applicatio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ibrary space usage through analyzing users’ behavior in an academic library. Diary methodology was applied for collecting users’ activities in the library. 10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ut 84 students submitted their diaries. Among them, 14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identify barriers and their needs in using the library. The findings suggest rearranging IT devices to increase use rate of those devices, making plans for reusing the space where it is rarely used, and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browsing in the bookstack area. Additionally, time analysis of users’ activities was used to analyze students’ behavior in the library.

keywords
도서관, 이용패턴분석, 다이어리, 앱, library, use pattern analysis, diary, applications

참고문헌

1.

강미희. (2011). 어린이도서관 공간평가요소 개발 연구.

2.

강미희. (2012). 어린이도서관 공간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219-243. http://dx.doi.org/10.4275/KSLIS.2012.46.2.219.

3.

강영숙. (2009). 지역사회 친화형 공공도서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4.

고흥권. (2012). 공공도서관 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10), 139-146.

5.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

6.

김극기. (2006). RFID 시스템을 적용한 공공도서관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7.

김선애. (2008).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85-105.

8.

김은자. (2009). 이용자 행동조사에 근거한 도서관 공간 재구성방향 연구: 과천정보과학도서관과 일본규슈대학부속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6(3), 395-415.

9.

김정희. (2007).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10.

김태승. (2008). 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11-328.

11.

김회정. (2006). 정보전달매체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 대전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12.

문화체육관광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13.

박성재. (2016). 대학생 과제보고서에 나타난 인용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513-53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1.513.

14.

오동근. (2009).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157-179.

15.

이용재. (2012).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 P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33-150.

16.

장우권. (2009).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연대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23-45.

17.

장지숙. (2011). 참여와 소통을 위한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22-27).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8.

정재영. (2008).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267-289.

19.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325-343.

20.

최서윤. (2008).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21.

한희정. (2010).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193-217.

22.

홍현진. (2010). Spatial Conditions of a Children's Library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With Priority Given to User Benefit Criteria. 정보관리학회지, 27(2), 173-199.

23.

황용운. (2008). 영주시 공공도서관 공간규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0(4), 87-94.

24.

Archibald, H.. (2010). Visual traffic sweeps (VTS): A research method for mapping user activities in the library space (-). Presented at the 2010 ALISE Conference.

25.

Bailey, R.. (2002). Information commons redux : Concept, evolution, and transcend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8(5), 277-286. http://dx.doi.org/10.1016/s0099-1333(02)00319-1.

26.

Bolger, N.. (2003). Diary method: Capturing life as it is live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579-616.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30.

27.

Davis, P. M.. (2003). Effect of the web on undergraduate citation behavior: Guiding student scholarship in a networked age.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3(1), 41-51. http://dx.doi.org/10.1353/pla.2003.0005.

28.

Erdelez, S.. (1999). Information encountering: It's more than just bumping into inform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5(3), 26-29. http://dx.doi.org/10.1002/bult.118.

29.

Gartner, G.. (2009). Smart environment for ubiquitous indoor navigation (-).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artographic Conference.

30.

Harvey, D.. (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Blackwell.

31.

Leckie, G. J.. (2007). The library as place: history, community, and culture:Libraries Unlimited.

32.

Lippincott, J.. (2011). 7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the modern learning commons. http://www.educause.edu/library/resources/7-things-you-should-know-about-modern-learning-commons.

33.

Mandel, L.. (2010). Toward an understanding of library patron wayfinding: Observing patrons'entry routes in a public libra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2), 116-130. http://dx.doi.org/10.1016/j.lisr.2009.12.004.

34.

Meth, P.. (2003). Entries and omissions: using solicited diaries in geographical research. Area, 35(2), 195-205. http://dx.doi.org/10.1111/1475-4762.00263.

35.

Milligan, C.. (2005). Digging deep: Using diary techniques to explore the place of health and well-being amongst older people. Social Science & Medicine, 61(9), 1882-1892.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5.04.002.

36.

Plummer, K.. (1983). Documents of life:George Allen and Unwin.

37.

Ranssen, E.. (2002). Library as place: Changing perspectives. Librar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16(4), 203-207.

38.

Shill, H. B.. (2003). Creating a better place: Physical improvements in academic libraries, 1995-2002.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64(4), 431-466. http://dx.doi.org/10.5860/crl.64.6.431.

39.

Silberer, G.. (2011). RFID-based tracking of shopping behaviour at the point of sal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European Retail Research, 25(1), 27-. http://dx.doi.org/10.1007/978-3-8349-6235-5_2.

40.

Sorensen, H.. (2003). The science of shopping. Marketing Research, (가을), 30-3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