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 대중교통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6, v.33 no.4, pp.225-244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225
이윤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이지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겨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용성 평가는 다양한 요인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초기의 물리적 편의에서 이용자 중심의 이용에의 만족도 평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 중 불특정다수가 제약 없이 널리 이용 가능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 또는 디자인적 측면에 치중되어 전반적인 이용자 중심의 이용성 평가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통해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과제 수행, 심층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다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본인의 이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에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방해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이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모바일 앱,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 usability evaluation, application usability, mobile application, transportation application

Abstract

As technology progresses, the supply and use of smartphon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nd has significantly transformed modern life. However, users still feel uncomfortable running some mobile apps, as many are created without a thoughtful consideration of usability. Usability evaluations involve several methodologies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in light of various principles. Although usability testing was initially centered on physical services, it has gradually evolved to consider user satisfaction as its main concern. Public transportation applications should be accessible to everyone, and studies should focus on the user’s perspective. However, previous user surveys have concentrated on applications’ technical aspects or visual design.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general usability evaluat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mobile transportation applications in real life, with a focus on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 All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task, an in-depth inter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In summary, the results suggest that users do not find inappropriate information attractive when it does not satisfy their purpose of use, but rather tend to consider it as interference.

keywords
이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모바일 앱,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 usability evaluation, application usability, mobile application, transportation application

참고문헌

1.

김미진. (2010). 모바일게임 터치사용자인터페이스(TUI)의 기능적 분석 및 설계.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1), 138-146.

2.

김성진. (2013).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205-230.

3.

김정아. (2013).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기능 GUI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연구 -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기능 사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39), 203-212.

4.

김형년. (2015). 모바일폰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 교통정보 시스템을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4), 109-116.

5.

류정우. (2014). 스마트폰 이용자의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 탐색에 관한 연구 (363-37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6.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5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주요 결과.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42025.

7.

윤여경. (2016). 사용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GUI 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7(1), 405-417.

8.

우빙. (2015).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GUI 디자인 사용성 평가 -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1), 223-233.

9.

이가영. (2014). 모바일 앱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617-627.

10.

이상화. (1999). 월드와이드웹을 이용한 사용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11.

이정환. (2013). 도로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효율적인 위치기반 서비스.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21(4), 63-70. http://dx.doi.org/10.12672/ksis.2013.21.4.063.

12.

이준엽. (2014).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안 및 타 사례와의 비교분석. 지능정보연구, 20(2), 163-178.

13.

임도하. (2012). 지역기반 대중교통 모바일 앱 UI 디자인 연구 - 고속(시외)버스터미널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1), 145-154.

14.

장선화. (2004). 전자책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15.

정종완. (2012). U-캠퍼스 환경에서 모바일 캠퍼스맵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내 일반대학교를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3), 125-133.

16.

조현지. (2014). 휴리스틱 기법을 이용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시각화 평가. 한국ITS학회 논문지, 13(3), 89-95. http://dx.doi.org/10.12815/kits.2014.13.3.089.

17.

하다윤. (2011). 모바일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위한 정보요소 분석 및 사용성 조사 (783-785).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8.

Baharuddin, R.. (2013). Usability dimensions for mobile applications - A review. Research Journal of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5(6), 2225-2231.

19.

Berns, T.. (2004). Usability and user-centred design, a necessity for efficient e-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puter, the Internet and Management, 12(2), 20-25.

20.

Bevan, N.. (1995). Measuring usability as quality of use. Software Quality Journal, 4(2), 115-130. http://dx.doi.org/10.1007/bf00402715.

21.

Constantine, L. L.. (1999). Software for use: A practical guide to the models and methods of usage-centered design:Addison-Wesley.

22.

Dumas, J. S.. (2004). 사용성 테스트 가이드북:한솜미디어.

23.

(1998). ISO 9241-11,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terminals (VDTs), part 11: Guidance on usability. https://www.iso.org/obp/ui/#iso:std:iso:9241:-11:ed-1:v1:en.

24.

Jordan P. W.. (1998). An introduction to usability:Taylor & Francis.

25.

Krug, S.. (2005). Don't make me think: A common sense approach to Web usability.

26.

김지선. (2006). 상식이 통하는 웹사이트가 성공한다 : 절대 불변의 웹유저빌리티 원칙:대웅.

27.

Lund, A. M.. (2001). Measuring usability with the USE questionnaire. Usability Interface, 8(2), 3-6.

28.

Nielsen, J.. (1993). Usability engineering:Elsevier.

29.

Nielsen, J.. (1990). Heuristic evaluation of user interfaces (249-256).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Empowering people. ACM.

30.

Olsina, L.. (2001). Specifyi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for websites. Web Engineering, , 266-278. http://dx.doi.org/10.1007/3-540-45144-7_26.

31.

Seffah, A.. (2006). Usability measurement and metrics:A consolidated model. Software Quality Journal, 14(2), 159-178. http://dx.doi.org/10.1007/s11219-006-7600-8.

32.

Shackel, B.. (1991).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 Human Factors for Informatics Usability, , 21-37.

33.

Tullis, T.. (2008). Measuring user experience: Collecting, analyzing, and presenting usability metrics:Morgan Kaufmann Publishe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