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for the Unifie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1, pp.317-34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31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Non-ide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cholarly and cultural field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project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gaining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tru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sures o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national libraries for the unified Korea. Related with that issue, this study analyzed function and limitation of national library in north Korea and evaluated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rame of cultural cooperation project. So, this study suggested the stepwise model of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based on the five practical measures including the cooperation governance system.

keywords
South and North Korea cooperatio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national library, Grand People’s Study House, National Assembly Library, library cooperation, 남북협력, 문화교류협력, 북한도서관, 인민대학습당, 국회도서관, 도서관협력

Reference

1.

강영실. 북한의 정보기술 육성전략과 기술수준.

2.

강진규. (2016).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과학기술축전개막. http://www.dihur.co.kr/1161.

3.

권영경. 남북경제협력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과제.

4.

김경렬. (2002). 정보산업시대와 계획업무의 정보화. 경제연구, 1, 29-31.

5.

김국신. 실패한 통일국가 예멘의 교훈.

6.

김기헌. (2001). 인민대학습당 광명홈페이지. 민족, 21(8), 40-41.

7.

김일성종합대학전자도서관. (2015). 통일신문.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19236&section=sc4.

8.

김정수. 북한 문예정책의 실태와 과제.

9.

나황균. (2007). 남북간 정보격차 대응방안 연구 (-). 제4회 남북간 정보격차 해소 학술세미나.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0.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2009년도 정기총회안건.

11.

백과사전출판사. (1998). 조선대백과사전(6):백과사전출판사.

12.

북, 모든 분야에서의 정보기술 중요성 강조.

13.

사회과학출판부. (1971). 력사사전(1):사회과학출판사.

14.

사회과학출판부. (1992). 조선말대사전(1):사회과학출판사.

15.

성혜랑. (2000). 등나무집:지식나라.

16.

송승섭. (2008). 북한도서관의 이해:한국도서관협회.

17.

송승섭. (2016). 북한 국가도서관의 발전과정과 그 양상. 인문과학연구논총, 37(1), 479-504.

18.

이상호. (2010). 천안함 사태로 드러난 정부대응의 문제점과 향후 대책. 정세와 정책, 170(6), 1-4.

19.

이우영. 대북지원 20년: 역사와 의의.

20.

전성훈. (2010). 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관계 전망과 대북정책 방향. Strategy21, 13(2), 157-180.

21.

정분희. (1994). 남북한 도서관 및 정보자료 교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통독 전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22.

정성장. 북한 권력체계의 이해: 수령, 당, 국가, 군대.

23.

조왕근. (2007). 남북도서관 교류협력사업사례: 김일성종합대학 과학도서관 현대화 사업 (-). 한독도서관 컨퍼런스. 독일문화원, 통일부, 한국도서관협회.

24.

조정아. 북한 교육제도와 실태.

25.

최기철. (2001). 남북한 정보기술협력방안. 한국어정보학, 3, 132-138.

26.

최용환. (2009). 경기도의 남북경제협력사업 추진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7.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정책 입국현황 통계자료.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

28.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향토대백과:평화문제연구소.

2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정보격차 대응방안 연구: 통일대비 남북간 정보격차 해소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0.

황한욱. (2003). 정보산업시대의 생산의 주요특징. 경제연구, 3, 24-26.

31.

Dankert, B.. (2007). Unforseen experiences: Cooperation, partnership and integration with libraries and librarians of the former GDR and the FDR (-). Korean-German Library Conference. Guethe-Institut 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Korean Library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