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어린이도서관 별치 자료에 대한 인지 거리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Distance of Separately Shelved Item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in Children's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1, pp.51-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51
김효윤 (연수청학도서관)
조재인 (인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로 구성된 어린이 도서관 이용자들 200여명이 인지하는 별치 자료간 희망 인지 거리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해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인지 거리가 실제 어린이 도서관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차원척도법은 분석 대상의 유사성이나 속성 등을 평가하여 공간상에 투영시키는 기법으로 마케팅에서 주로 시장 진단을 위해 활용되지만, 제품이나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적 거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물리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별치 자료간 인지 거리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리고 학부모 집단간에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간의 인지 거리에 있어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Y구의 3개 어린이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된 인지 거리 체계가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집단의 인지 체계에 완벽히 부합하는 공간 구조를 지닌 도서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가 분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인지 거리가 부분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keywords
children library, separately shelved items, multidimensional scaling, recognition distance, K-means, 어린이도서관, 도서관 별치자료, 다차원척도법, 인지거리, K-means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s which are located separately in a children’s library targeting 200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students, higher grade students, and school parents(adults). And compared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of materials of individual visitor grou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 group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is a technique for projecting the cognitive state in space by evaluating the similarity or attribute of the analysis target. Even though it is mainly used for market diagnosis in marketing, It can also be applied to present an ideal physical layout plan by analyzing the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in discoverie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ze child, baby and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adjacent as a same group. But recognition of adults(school parents) is reflected by differing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stly. They cognize that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formed as a special group separated from child and baby’s materials. Second,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and adults(school parents) groups also want to separate their main reading materials from baby’s book, therefore They both want to secure silent reading space separating from baby. Third, as a result to confirming how this recognition distance system of materials is reflected in a real children’s library through three children’s libraries in Y-gu, Incheon, there is no library with structure according perfectly with a recognition system of a particular class, but a recognition system of adul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artially reflected because baby, child and computer materials, and baby and child materials are commonly separated and placed. It is difficult to insist that a recognition system of a visitor group, especially a recognition system of children is absolute consideration conditions in material placement of a children’s library. However, understanding cognition of the user groups can be an important evidentiary factors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 space according to visitor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elements of library resources.

keywords
children library, separately shelved items, multidimensional scaling, recognition distance, K-means, 어린이도서관, 도서관 별치자료, 다차원척도법, 인지거리, K-means

참고문헌

1.

강건해. (2007). 어린이 도서관에서 아동의 독서공간과 행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어린이 기적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2.

강미희. (2011). 어린이도서관 공간평가요소 개발 연구.

3.

김성근. (2000).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4.

김시중. (2005). 컨벤션 개최지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6, 57-74.

5.

김종성. (2011). 어린이서비스론:태일사.

6.

김학진. (2003). 주제공원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 이용자의 인지거리를 중심으로.

7.

배현웅. (2010).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특수 목적대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1), 11-20.

8.

박수미. (2006). 유형비교를 통한 어린이도서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9.

박지연. (2013).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10.

박진열. (2010).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설치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11.

송용호. (2009).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매장 내 제품배치 및 제품분류 합리화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0(4), 59-74.

12.

신경희. (2008). 어린이 도서관의 열람공간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13.

신라영. (2016). 행태 특성을 기반 어린이 도서관 공간 디자인.

14.

신라영. (2014). 발달과 행태 특성에 기반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9(3), 183-193.

15.

윤영선. (2005). 공간간의 이상적 거리를 통한 치매노인시설 직원의 공간구성 요구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5), 185-192.

16.

이미경. (2014). 놀이의 행태적 특성에 의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디자인 연구.

17.

이재윤. (2012). 클러스터링을 고려한 다차원척도법의 개선: 군집 지향 척도법. 정보관리학회지, 29(2), 45-70.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45.

18.

이학식. (2011). SPSS 18.0 매뉴얼:집현재.

19.

이훈영. (2006). 연구조사방법론:청람.

20.

임지영. (2016). 심장혈관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111-13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1.111.

21.

장령령.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

22.

정남영. (2006). 어린이 놀이공간으로서의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23.

정주희. (2007). Q 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사서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24.

정효재. (2013). 어린이도서관 열람실의 어린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25.

조재인. (2016).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직장으로서의 도서관․정보센터 이미지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113-13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3.113.

26.

홍윤정. (2006). 경쟁우위를 위한 외식기업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운대관광특구를 중심으로.

27.

David B. MacKay. (1975). Cognitive Maps of Retail Locations: An Investigation of Some Basic Issu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197-205. http://dx.doi.org/10.1086/208632.

28.

A H Spencer. (1980). Cognition and Shopping Choice: A Multidimensional Scaling Approach. Environment and Planning A, 12(11), 1235-1251. http://dx.doi.org/10.1068/a12123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