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교도서관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독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Event Collection Programs: Focusing on Korean Histo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1, pp.73-11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73
이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김기영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 및 교과연계와 도서관의 자원 활용을 아우르는 협력모델로 이벤트 체험과 컬렉션 체험의 융합 프로그램인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효과와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 및 질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효과로 학생들의 독서와 도서관의 역할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벤트컬렉션이 주제분류에 의한 자료배열로서는 제공할 수 없는 특정 관심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 발견 및 그 깊이와 범위의 확장을 통한 지식의 구조화를 지원하고, 전시이벤트 형식의 체험마케팅 요소를 통해 독서자료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공유와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자기주도적 독서에 효과적인 도구임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event collection, school library, experiential marketing, reading in subject-area, Korean history, 이벤트컬렉션, 학교도서관, 체험마케팅, 교과학습독서, 한국사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s of event collection programs, which are integrated programs with event experience and collection experience as a cooperation model that combines school education and library resources as course-related materials. For the purpose, a triangulated analysis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as conducted.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d an event collection program’s effectiveness which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ted students’ reading and perceptions on the roles of their school libraries. The event collection supported the students to self-construct their knowledge by exploring information with the provision of a collection with various materials on a topic, which would be hardly provided within the traditional library subject classification, and that the event collection program could be a useful tool for self-directed reading due to its promotion of interac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among materials and the participated students by functional factors of experiential marketing.

keywords
event collection, school library, experiential marketing, reading in subject-area, Korean history, 이벤트컬렉션, 학교도서관, 체험마케팅, 교과학습독서, 한국사

참고문헌

1.

곽경희. (2012). 체험마케팅과 스폰서십마케팅을 활용한 테마파크의 운영 분석 :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11), 432-44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1.432.

2.

권현수. (2003). 체험 마케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스타벅스 커피(Starbucks Coffee) 소비자 분석을 중심으로.

3.

김성준. (2014). 학생 독서능력에 대한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51-71.

4.

박수경. (2007).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76), 55-78.

5.

이경화. (2005). 도서관 활용 독서교육의 방안. 청람어문교육, (32), 75-97.

6.

이경화. (2005).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학습독서 전략 연구. 새국어교육, (71), 213-234.

7.

이경화. (2007).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박이정.

8.

이경희. (2007). 사회 교과 학습 독서를 위한 도서 선정과 활용에 관한 연구.

9.

이성영. (2006). 읽기 교육의 마당 넓히기- 내용교과에서의 읽기 지도. 독서연구, (15), 397-423.

10.

이은엽. (2004).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 비교.

11.

장해숙. (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12.

주희문. (2013). 체험 마케팅에 의한 직업체험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어린이 직업체험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2(3), 108-116.

13.

천경록. (1999). 독서교육과 독서평가. 독서연구, 4, 7-43.

14.

小坂善治郎. (1996). 合理的なイベント業務推進のための情報管理に関する考察. オフィス⋅オートメーション, 17(2), 112-115.

15.

AASL. (1998).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ALA.

16.

Adler, M.. (1972). How to read a book: The classic guide to intelligent reading:Simon and Schuster.

17.

Joseph A. Bellizzi. (1984). Managerial guidelines for trade show effectivenes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13(1), 49-52. http://dx.doi.org/10.1016/0019-8501(84)90008-7.

18.

Chall, J. S. (1983).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McGraw-Hill.

19.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Harper Perennial.

20.

Dewey, J.. (1938). Education and experience:Simon and Schuster.

21.

Jacobson, J. M.. (1998). Content area reading: Integration with the language arts:Delmar Publishers.

22.

Kotler, P.. (1973).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4), 48-64.

23.

Kathleen A. J. Mohr. (2016). Children's Choices for Recreational Reading: A Three-Part Investigation of Selection Preferences, Rationales, and Processes.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38(1), 81-104. http://dx.doi.org/10.1207/s15548430jlr3801_4.

24.

Nikolajeva, M.. (1996).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children’s literature:Tallin Pedagogical University.

25.

Richard L. Oliver.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dx.doi.org/10.2307/3150499.

26.

T. V Perneger. (1998). What's wrong with Bonferroni adjustments. BMJ, 316(7139), 1236-1238. http://dx.doi.org/10.1136/bmj.316.7139.1236.

27.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8.

Pine, B. J.. (2001).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ealth Forum Journal, 44(5), 10-17.

29.

Pine, B. J.. (2011). The experience economy: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30.

Bernd Schmitt. (1999). Experiential Marketing: A New Framework for Design and Communications. Design Management Journal (Former Series), 10(2), 10-16. http://dx.doi.org/10.1111/j.1948-7169.1999.tb00247.x.

31.

Schmitt, B. H.. (2003).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John Wiley.

32.

Swartz, M. K.. (2000). Factors that influence the book selec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43(7), 608-618.

33.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Harvard University Pres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