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Study to Identify the Status and to Develop Plans for Improving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3, pp.189-2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189
이지연 (연세대학교)
안준범 (연세대학교)
오혜영 (연세대학교)
서혜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6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자료와 전국 108곳의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사서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서비스 수준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은 인력 및 예산의 부족, 시설의 협소함, 유연하지 않은 프로그램 내용 등의 문제점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임을 나타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청소년의 흥미 유발 및 참여자 간 유대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개발, 학교 및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 증진, 도서관 프로그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 제안, 정보 소외계층 중점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도서관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요청 등을 제안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프로그램 기획부터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까지 다방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어린이, 청소년, 공공도서관 서비스,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children’s program, youth program, public library servic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also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for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services they provided, the 2016 Korea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and the survey results from the children and youth program librarians in the 108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 shortage of space, and an inflexible program curriculum, which affect the program as a whole negatively. Five suggestions were made to remedy the problems. They are: 1) development of the new programs, which can interest the children and youth and motivate the sense of association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s; 2) increase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 school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nearby region; 3) incorporating the new program format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4) starting the new services explicitly targeted for the information-poor group of people; and 5) soliciting policy-level support for the libraries. In summary,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for the libraries ranging from planning the programs to requesting assistance from the national as well as the regional governments.

keywords
어린이, 청소년, 공공도서관 서비스,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children’s program, youth program, public library services

참고문헌

1.

강정아. (2018).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유형별 현황 및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1), 99-12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8.29.1.099.

2.

곽철완. (2008).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 및 협의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63-84.

3.

김종성. (2008).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리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69-492. http://dx.doi.org/10.16981/kliss.39.2.200806.469.

4.

김종성.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39-56.

5.

김종성. (2008).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175-202.

6.

도유미. (2015).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디지틀도서관, 77, 51-69.

7.

도태현.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31-150.

8.

오동근. (2007). 어린이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를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65-385.

9.

윤혜진. (2017).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1), 167-19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1.167.

10.

윤희윤. (2015).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20. http://dx.doi.org/10.16981/kliss.46.4.201512.1.

11.

이경란. (2011).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5-26.

12.

이경란. (2009). 공공도서관 청소년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15-130.

13.

이연옥. (2012).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73-98. http://dx.doi.org/10.16981/kliss.43.1.201203.73.

14.

임여주. (2014).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89-10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089.

15.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210.

16.

장덕현. (2014).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모형 연구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179-203. http://dx.doi.org/10.16981/kliss.45.2.201406.179.

17.

장우권. (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45-36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345.

18.

장윤금. (2010). 공공어린이도서관 운영현황 및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99-215.

19.

정소현. (2015). 공공도서관 청소년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47-56).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 학술발표회.

20.

정종기. (2015). 국내 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제공 현황 분석. 인문학논총, 39, 479-494.

21.

지선. (2017).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461-48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4.461.

22.

차미경.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95-115.

23.

최문정. (2016).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77-101.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077.

24.

한윤옥. (2008).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27-154.

25.

홍현진. (2009).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을 위한 도서관 실태조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53-90.

26.

Barratt-Pugh, C.. (2015). Better beginnings has made me make reading part of our veryday routine' : Mother's perceptions of a family literacy program over four years.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40(4), 4-12.

27.

Claesson, L.. (2010). 어린이와 함께 시작하기: 스웨덴 어린이 도서관 업무 (203-269). 제4회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심포지엄 자료집.

2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2003).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https://www.ifla.org/files/assets/libraries-for-children-and-ya/publications/guidelines-for-childrens-libraries-services-en.pdf.

29.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2009). Sister libraries for children's and young adult's reading. https://www.ifla.org/node/1746.

30.

Kallunki, S.. (2015). A bumper crop of ideas-library gardens offer many teachable programs, moments. Children and Libraries, 13(2), 21-25.

31.

Carolynn Rankin. (2016). Library Services for the Early Years: Policy, Practice, and the Politics of the Age. Library Trends, 65(1), 5-18. http://dx.doi.org/10.1353/lib.2016.0022.

32.

Sullivan, M.. (2005).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3.

Walter, Virginia A.. (1992). Output measur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 manual of standardized procedures:ALA Book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