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the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9, v.36 no.4, pp.53-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053
노영희(Younghee Noh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장로사(Rosa Chang )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IFLA의 UN 2030 Agenda,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함에 따라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서비스기관으로서 도서관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적합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검증단계로서 FGI 및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지표는 총 3개의 평가영역, 총 12개의 평가항목, 총 30개의 평가지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접근 평가영역에서는 3개의 평가항목, 8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으며, 둘째, 역량 평가영역에서는 5개의 평가항목, 12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고, 셋째, 활용 평가영역에서는 4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범지구적으로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가 전무한 상황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그 의미와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정보취약계층, 정보소외계층, 정보불평등, 정보격차, 디지털정보격차, 정보격차 지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 information poor, information inequality, digital divide, digital divide indicator,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Abstract

The 3rd Libra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9-2023) of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under IFLA-UN 2030 Agenda emphasize the role of libraries in practicing social inclusion. At home and abroad, this is shedding new light on libraries as the public service institutions aimed at resolving information inequality. This study thus develop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libraries. For this purpose, FGI and Delphi technique were implemented as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the final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ree evaluation areas, twelve evaluation items, and 30 evalu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first, 3 evaluation items and 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access evaluation area; second, 5 evaluation items and 12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competency evaluation area; and third, 4 evaluation items and 10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utilization evaluation are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optimized for libraries were developed, the first of its kind.

keywords
정보취약계층, 정보소외계층, 정보불평등, 정보격차, 디지털정보격차, 정보격차 지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 information poor, information inequality, digital divide, digital divide indicator,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투고일Submission Date
2019-11-14
수정일Revised Date
2019-12-1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9-12-16

정보관리학회지